인천 전기차 벤츠에서 발화된 화재가 발생한 뒤 '전기차 공포' 확산.

벤츠 전기차에 화재발생 당시 스프링클러는 작동하지 않아...

김효범 승인 2024.08.07 15:35 의견 0

인천 서구 청라동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전기차 벤츠에서 발화된 화재가 발생한 뒤 '전기차 공포증'가 확산되고 있다.

인천 서구 청라동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전기차 벤츠 소실 모습


화재로 인해 일부 아파트단지에서 전기차의 지하주차장 진입을 금지하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일부 상업용 시설에선 전기차의 지하주차장 진입 금지를 공고하면서 전기차 이용자들 사이에선 '잠재적 가해자가 된 것 같다'는 불만의 목소리도 나온다.

소방 당국은 현장 폐쇄회로(CC)TV와 목격자 진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발화 지점을 중심으로 스프링클러가 작동한 사실이 없다고 판단했다. 벤츠 전기차에 화재발생 당시 스프링클러는 작동하지 않아 피해가 더욱 확산된 것으로 보인다.

전기차는 배터리가 차량 하부에 있어 물을 분사해도 배터리까지 방화수가 도달하지 않고, 배터리의 연쇄적인 열폭주로 인해 재발화와 폭발의 위험도 크다.

소방청에서는 전기차 자체를 수조에 넣어 진압하는 방식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권고하고 있지만 실제 지하에서 이렇게 진화에 성공한 사례는 거의 없어 현실에 맞지 않는 허무 맹랑한 대책이라는 전문가들의 목소리다. 이는 차량 주변에 물막이 판을 설치하고 배터리 높이까지 물을 부어 화재를 진압한다고 하지만, 이번 사고의 경우 지하에 차량이 주차돼 있어 이동식 수조를 사용하지 못했고 소방차량도 지하에 진입하지 못한 상황에 실제와는 거리가 먼 대책이다.

전기차 배터리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방수포를 사용하는 방법은 최근 주목받고 있는 효과적인 화재 진압 방법 중 하나이다. 방수포를 활용한 화재 진압 방안은 화재가 발생한 리튬 배터리를 덮어 산소 공급을 차단한다. 산소가 차단되면 화재가 확산되지 않고 발화차량에서 화재가 진압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방수포는 내열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화재 현장의 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냉각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를 통해 배터리의 온도를 낮추어 열폭주를 통한 인근으로 화재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배터리 열폭주가 완료되면 방수포 하단으로 대량의 소화수를 방수하여 화재를 완전히 진압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인천소방본부에서는 이번 사고를 통해 방수포 보급을 확산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전기차 충전기 설치 의무화로 공동주택 지하에 전기충전기가 설치되고 있지만, 한번 화재가 시작되면 쉽게 꺼지지 않는 전기차 특성상 지하가 아닌 지상에 주차해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배경이다.

지상주차장에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하는 것도 어렵다. 저층 거주자 사이에선 집값을 걱정하며 전기차 충전기 설치를 반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지상주차장을 설치하지 않는 공동주택이 많은 현실에 국가에서 적절한 대책 마련을 고심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대책 마련 전까지 전기차에 사용하는 배터리의 안전성을 확보하거나 화재에 안전한 전고체배터리가 빨리 양생되어야 소비자가 안심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이다.

차량 구매자 대부분은 유명 차량 메이커는 안전하다고 신뢰하고 차량을 구매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전기차 사용자 대부분은 전기차 구입 당시 차량의 배터리 정보를 제대로 제공받지 못한다. 제조업체도 차량 스펙을 세세하게 공개하지만 배터리 정보는 공개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번 사고의 발화점으로 지목된 차량은 메르세데스-벤츠 EQE 세단으로, 중국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 '파라시스 에너지'의 제품이 탑재된 것으로 파악됐다. 그 뒤 전기차 사용자들이 '내 차 배터리 정보'에 대한 알 권리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차량 전문 인터넷 커뮤니티엔 한 전기차 사용자가 본인 차량 배터리 모델을 확인한 글을 게시하자 '배터리 정보를 알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 달라'는 다른 사용자의 댓글이 잇따라 달렸다.

소비자가 전기차 배터리와 관련한 세세한 정보를 얻고 배터리를 선택할 권리를 가져야 한다"는 소비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현실이다.

이번 사고를 계기로 전기차 화재 대응을 위한 매뉴얼을 정비하고, 정부기관에서 대책을 갖춰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정부는 내년 2월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를 도입할 예정이다. 인증제를 시행하면 제작사가 전기차 배터리를 생산하며 안전 기준에 적합한지 검사를 받고 국토교통부 장관의 인증을 받아야 한다. 앞으로 정부 배터리 인증제 도입되면 전기차 안전성에 대한 국민의 불안이 줄어들 수 있을 것인지 이 역시 지켜봐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안전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