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대전환 흐름 속에 공간정보산업 매출 10조 원 돌파

10년 연속 매출액 연평균 7.8%, 종사자 수 5.9% 성장

문영훈 승인 2022.12.26 13:02 의견 0
국토교통부 전경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2022년 공간정보산업* 조사’ 결과(‘21년 기준), 국내 공간정보산업의 총매출액은 10조 7,381억 원, 종사자 수는 71,636명, 사업체 수는 5,807개 사로 조사 기준시점인 2021년 한 해 동안 많은 성장을 이뤘다고 발표했다.

* 공간정보산업은 사물의 위치와 관련된 수치지도, 지적도, 3차원 지도 등을 생산·가공·유통하거나 다른 분야와 융·복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


2013년(‘12년 기준) 첫 조사를 시작한 이래 공간정보산업은 10년 동안 매출액 약 5.3조 원, 종사자 수 약 2.9만명, 사업체 수 약 1.3천개 증가하여, 각각 연평균 7.8%, 5.9%, 2.9% 성장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부문별 주요 조사내용은 아래와 같다.

① 매출액

공간정보산업 매출액은 10조 7,381억 원으로 전년(9조 7,691억 원) 대비 9,690억 원(9.9%)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사업체 당 평균 매출액 : (’19) 16.7억 원, (’20) 17.5억 원, (’21) 18.5억 원


이번 조사에서는 공간정보 관련 출판 및 정보서비스업(14.0%), 도매업(10.7%), 기술 서비스업(8.1%), 제조업(5.6%) 등 모든 업종에서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경변화(코로나-19 여파로 비대면 앱 증가, 디지털 대전환 등)에 따른 공공과 민간에서의 투자 증가(메타버스, 국방 디지털전환 등)와 수요와 생산 증가(골프, 재해관리분석 등) 및 기술 개발 활성화(가상현실 구축, 건설로봇개발 등)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 (영업이익률) 전체(5.6%), 제조업(6.8%), 건설업(4.7%), 도매 및 소매업(2.7%), 운수업(7.2%), 정보통신업(8.2%),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6.5%), 사업지원 서비스업(2.7%)
** (당기순이익률) 전체(5.0%), 제조업(6.0%), 건설업(4.5%), 도매 및 소매업(2.5%), 운수업(5.0%), 정보통신업(9.8%),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3%), 사업지원 서비스업(2.3%)


② 종사자 수

2021년 기준 공간정보산업 종사자 수는 71,636명으로 전년(67,740명) 대비 3,896명(5.8%)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종사자 수도 매출액과 같이 공간정보 관련 제조업(6.5%), 출판 및 정보서비스업(6.1%), 도매업(5.7%), 기술서비스업(5.3%) 등 모든 업종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건설/스포츠/에너지/자연생태계/해양조선 관련 신제품 개발, 자동화 설비 증가, 비대면 플랫폼(AR/VR) 구축, 콘텐츠 제작 등의 사업 확대로 관련 전문 인력을 채용한 영향인 것으로 보인다.

공간정보산업은 지난 10년 동안 28,842개의 일자리를 마련하여, 국내 일자리 창출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③ 사업체 수

공간정보 사업체 수는 5,807개로 전년(5,595개) 대비 212개(3.8%)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세부 업종별로 살펴보면 공간정보 관련 출판 및 정보서비스업(15.5%), 도매업(2.9%), 기술 서비스업(0.5%) 순으로 나타났으며, 제조업과 협회 및 단체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통계청 경제총조사 명부상의 사업체 수 증가(약 185만개)로 그간 누락된 공간정보 사업체가 반영되었다는 점과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앱 사용 증가 등으로 타 산업 사업체들이 공간정보 분야로 사업영역을 확장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공간정보산업은 매출액 10억 원 미만 사업체가 59.6%(3,463개), 종사자 10인 미만 사업체가 59.9%(3,480개)로 조사되어, 소규모 기업이 아직도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매출) 10억 원 미만(3,463개, 59.6%), 10~100억 원(2,002개, 34.5%), 100~400억 원(261개, 4.5%), 400억 원 이상(81개, 1.4%)
** (종사자) 1~4인(2,514개, 43.3%), 5~9인(966개, 16.6%), 10~19인(917개, 15.8%), 20~49인(934개, 16.1%), 50인 이상(476개, 8.2%)


이번 조사 결과 공간정보가 융·복합되어 다른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생산유발계수는 1.764, 부가가치유발계수는 0.840, 고용유발계수는 10.4, 취업유발계수는 13.4로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국내 전 산업 유발계수와 비교하여 보았을 때, 고용과 취업은 각각 3.0, 3.3의 유발계수가 높게 나타나 산업에 대한 투자가 국내 일자리 창출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 강주엽 국토정보정책관은 “전 산업 디지털 대전환 가속에 기반이 되는 공간정보산업이 다가오는 미래를 향해 도약해 나갈 수 있도록 필요한 법과 제도의 마련, 제약되는 부분에 대한 제도 개선 등에 심혈을 기울이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안전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